2015년 9월 18일 금요일

CentOS 메모리정보 보기 free

이번 포스팅은 시스템 메모리의 정보를 출력하는 free 명령어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주로 free명령어의 옵션 위주입니다.

free [옵션]

옵션은 free -help를 입력하면 확인 할 수있습니다.


-b : 메모리 크기를 bytes 단위로 표시
-k : 메모리 크기를 KB 단위로 표시
-m : 메모리 크기를 MB 단위로 표시
-g : 메모리 크기를 GB 단위로 표시
-t : 메모리 총합을 표시
-o : 과거의 형식으로 출력(버퍼정보가 없다)
-s : 지정된 시간마다 출력
-v : 버전 정보 출력

각 옵션별 아래와 같이 정보가 출력된다.


아래는  -s 옵션을 이용하여 5초에 한번씩 메모리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게 했다. 출력 도중에 나가는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아시는분은 알려주세요..


이상으로 간단하게 CentOS에서 메모리 정보를 확인하는 free명령어에 대해 알아봣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2015년 8월 23일 일요일

CentOS wget 명령어 간단사용법

이번 포스팅은 CentOS나 여타 리눅스배포판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인 wget 명령어에 대해 간단하게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wget 명령어는 터미널에서 해당 주소의 웹에서 파일은 바로 다운로드 받는 기능인데요. GUI환경에서 웹을 직접 찾아가는것도 장점이 있지만, 귀찮을때가 있죠? wget 명령어는 주소만 알면 바로 명령어 한줄로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해 편리해요!

사용방법 : 
 wget [옵션] [웹주소] 

옵션 :
-r : 지정된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 내용을 모두 다운
-c : 취소된 설치를 이어서 다운로드 (설치중 취소 : ctrl + c)
-b : 백그라운드에서 설치(디렉토리에 설치로그가 남는다)
--help : 옵션보기

우선 wget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경우에는 yum 명령어로 wget을 설치해준다.

# yum install wget

설치후, 간단하게 파일을 아파치 hive 파일은 받는것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hive파일의 주소를 얻기 위해서 웹페이지에 접속해서 다운로드 링크의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그 다음 wget 명령어에 따온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해당 링크의 파일인 apache-hive-1.1.1-bin.tar.gz.1 파일이 다운로드 받아졌습니다.


이번에는 -b 옵션을 넣어 다운로드 받아보겠습니다. -b옵션은 파일크기가 큰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때 다운로드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해서 다른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wget 명령어를 실행해도 다운로드 중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해당 디렉토리 아래 wget-log가 생기는데 파일을 다운받은 기록파일입니다.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c 옵션은 다운로드 진행중 취소되었던 작업을 이어 다운로드 하는것입니다. wget 다운로드 도중 취소는 (설치중 취소 : ctrl + c) 입니다.

이상으로 wget 명령어와 자주 사용하는 옵션 몇개를 알아 보았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혹시나 잘못된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2015년 8월 17일 월요일

CentOS 리눅스 터미널에서 방화벽 포트 열기

이번에는 CentOS 에서 터미널에서 방화벽 포트를 여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GUI환경에서 창으로 방화벽을 열다보니 터미널에서의 방법을 몰라 이번에서야 배우게 되었네요.

우선 root권한으로 방화벽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root사용자로 바꾸어 줍니다. 터미널에서 vi /etc/sysconfig/iptables 명령을 입력합니다. 이 파일이 방화벽을 설정하는 파입니다.



편집기가 열리면 아래와 같이 현재 설정되어 있는 포트들이 나타납니다. 임의로 10004번 tcp포트를 연다고 가정하고, 아래와 같이 입력해줍니다.

-A 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10004 -j ACCEPT



 아래와 같이 입력 한 후에 vi편집창에서 저장하고 나와줍니다.



마지막으로 아래와 같이 service iptables restart (또는 /etc/init.d/iptables restart) 명령어로 방화벽서비스를 재시작해줍니다.



이상으로 아주 간단하게 터미널에서 방화벽 설정하는법을 적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혹시나 잘못된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2015년 8월 15일 토요일

CentOS samba서버 swat 설정과 사용자확인

CentOS 6.6에 samba 데몬으로 서버를 구축했습니다. samba는 편하게 환경설정 하기위해 SWAT이라는 웹설정툴을 제공하는데요. SWAT설정법과 현재 samba서버에 접속자를 확인 할 수 있는  smbstatus 명령에 대해 간단하게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우선 smb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현재 samba서버에 접속하고있는 사용자의 이름과 그룹, 그리고 장치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WAT을 실행하기 위해 yum 명령어로 아래와 같이 설치를 진행해줍니다.



설치가 완료된 후 vi편집기로 /etc/xinetd.d/swat 파일을 아래와 같이 편집해줍니다. 포트는 기본 포트가 901이며, only_from은 samba서버의 SWAT에 접근할 수 있는 IP를 설정합니다. user은 root가 기본입니다.




vi편집을 마친후 service xinetd restart 명령으로 xinetd를 재시작 해줍니다.



그리고 방화벽 설정에 들어가 [그 외의 포트]에서 901포트를 추가해줍니다.



마지막으로 원하는 웹브라우저에 들어가 아래와 같이 서버의 IP와 901포트를 입력하면 samba SWAT 웹설정툴에 접속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samba의 SWAT웹설정툴 설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혹시나 잘못된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2015년 8월 14일 금요일

CentOS 리눅스 samba를 활용해 윈도우와 파일공유 하기

samba는 CentOS에서 윈도우로 파일을 공유하는데 사용하는 데몬입니다.
samba를 설치하고 간단하게 설정하면 윈도우와 파일을 공유 할수 있습니다.

우선 samba를 설치해줍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하위패키지와 함께 간단하게 설치가 됩니다.

# yum install samba

samba의 파일들은 /etc/samba/에 아래와 같이 3가지 파일이 있습니다. 이중에 smb.conf 파일을 vi 편집창으로 편집해줍니다.

vi편집을 통해 맨 아래로 내려가 public이라는 공유폴더를 만들고 경로를 지정, 권한설정을 해주었습니다.

path : 경로지정
public : nobody 사용자에 대한 접근권한설정
writable : 쓰기가능 여부
printable : 프린터 공유
write list : 공유 영역에 대한 쓰기 가능한 사용자 혹은 그룹 지정사용자를 여러명 지정한다. ex) naom @ group

파일을 편집해준 후 접근 할수있는 사용자를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smbpasswd를 통해 기존 리눅스 사용자에 smb 패스워드를 부여해 주어야합니다. 주의할 점은 리눅스사용자 패스워드와 smb 패스워드는 상이하다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해줍니다.

(Failed to find entry for user [유저이름]) 이라는 멘트가 뜨면 -a옵션을 붙여준다.


service smb restart 명령어로 smb서비스를 재시작 해줍니다. 그냥 시작하는 경우는 start명령어 입니다.

공유준비가 다 되었으니 이제 윈도우 PC에서 실행창에 \\(리눅스PC IP) 를 입력해줍니다.
그러면 사용자와 패스워드를 입력할수있는 창이 뜨는데 아까 설정했던 smb사용자이름과 패스워드를 입력해주면 공유폴더가 뜹니다. 이로서 공유가 되었습니다.

이상으로 samba를 통한 윈도우와 CentOS리눅스의 파일공유를 알아보았습니다.

** 혹시나 잘못된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2015년 7월 26일 일요일

CentOS의 파일시스템 관리 및 장치 마운트

이번 포스팅은 CenOS의 파일시스템 관리와 하드디스크 마운트 및 해제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파일시스템 관리 명령어는 실수로 잘못 입력하면 중요한 데이터 손실을 불러올수있기 떄문에 신중하게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우선 cat /etc/mtab 명령으로 현재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있는 장치를 확인할수있습니다.


1. fdisk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하고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다.

fdisk -l : 시스템의 파티션을 보여준다.
fdisk /dev/sda : 장치(/dev/sda)에 대해 fdisk가 실행된다.
fdisk -v :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fdisk -s 장치 : 해당장치의 볼륨을 확인 




장치에 파티션을 설정하기 위해 fdisk /dev/sda 로 /dev/sda 장치에 대한 fdisk를 실행시켜줍니다.


Command 입력에 m을 입력하면 사용가능한 명령이 나열되고 이에 대한 설명이 출력됩니다.

d : 파티션 삭제
n : 새로운 파티션 생성
p : 현재 파티션 설정 확인
q : 저장하지 않고 종료
w : 저장하고 종료


아래와 같이 n으로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필자는 해당 하드의 첫번째 파티션이기때문에 파티션 넘버는 1로 해주었습니다. 첫번쨰 실린더에도 1을 입력해주고 마지막 실린더에 원하는 용량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첫번째 실린더부터 마지막 실린더 까지의 값이 해당 파티션의 용량이 됩니다. 마지막 실린더 값을 입력하지 않고 <ENTER>을 입력하면 최대용량이 됩니다.

파티션을 생성하고 p명령으로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w로 설정한 파티션을 저장하고 fdisk를 종료합니다.



fdisk -l 명령을 통해 해당 설정하였던 파티션이 만들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파일시스템 작성

파티션을 생성했다고 바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 파일시스템을 작성해주어야 비로소 해당 파티션에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습니다. 아래는 mkfs명령으로 /dev/sba1파티션에 ext3의 파일시스템을 작성하는 명령입니다.

mkfs [-V] [-t 파일시스템 종류] [옵션] 장치이름 [용량]

-c : 배드섹터 검사 후 파일시스템 작성
-v : 작업상태 및 결과 출력



3. 마운트

해당 파티션을 마운트할 디렉토리를 생성해주고, 해당 파티션을 디렉토리에 마운트 해주는 명령어 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파티션을 마운트 해주면 됩니다. 마운트 해제는 unmount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마운트를 완료하였다면 mount 명령어로 마운트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을 재부팅할 경우 마운팅이 유지 되지 않기 때문에 새로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번거로움을 없에기 위해 /etc/fstab을 vi편집으로 아래와 같이 입력을 해주면 재부팅시에 자동으로 마운트 됩니다.



이상으로 파일시스템 관리와 파티션설정 마운트에 대해 포스팅해보았습니다.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보기 위한 df 명령어와 파일과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한 du 명령어도 있습니다. 

** 혹시나 잘못된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2015년 7월 25일 토요일

iptime 공유기 포트포워딩 하는법

이번 포스팅은 포트포워딩에 대해 알아보고 iptime공유기의 포트포워딩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공유기가 각각의 디바이스 마다 사설IP를 할당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해당 IP로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있는게 공인IP를 사설IP로 연결시켜주는 포트포워딩입니다. 

포트포워딩이란? : 링크

포트포워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되어있는 페이지를 링크 걸어뒀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우선 사설 192.168.0.1을 인터넷 브라우저창에 입력하시면 iptime공유기 설정이 나옵니다.


위의 화면에서 관리도구를 클릭해주세요.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내부IP주소 : 공유기에서 할당한 해당디바이스의 사설IP를 입력합니다. 윈도우PC의 경우 명령프롬프트창에 ipconfig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외부포트 :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때 사용되는 포트
내부포트 : 해당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포트

를 입력하시고 추가를 해주시면 포트포워딩이 생성된것입니다.


설정 후 브라우져창에 (공인IP:해당포트) 를 입력하면 포트포워딩 되어있는 192.168.0.22 디바이스의 80번 포트로 연결해줍니다. 

공유기환경에서 서버를 구축할시 외부에서 접속을 하기위해 꼭 필요한 포트포워딩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 보았습니다. 공유기 회사마다 설정방법이 약간씩 다릅니다.

** 혹시나 잘못된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가장 많이 본 글